2018년 7월 24일 화요일

완전 초보도 따라하는 하이엔드 레이싱 드론 제작 매뉴얼


약 석달 간에 걸쳐 레이싱 드론을 새로 하나 만들면서 작성한 매뉴얼입니다. 틈틈히 시간을 내어 작성하고 또 저의 게으름 때문에 예상보다 오래 걸렸습니다. 각각의 포스팅을 찾아 보기 힘들 것 같아 이 포스팅에서 목차를 정리해 둡니다.

누구나 쉽게 따라서 레이싱 드론을 만들어 볼 수 있도록 정리했습니다만 아무래도 막히는 부분이 있을 것입니다. 그럴 때는 관련 내용을 구글링 하고 유튜브를 찾아보면서 해결하는 것이 제일 좋겠습니다.






















댓글 29개:

  1. 안녕하세요! 여기 올려주신 부품들을 이용해서 3축짐벌(storm32보드 이용)을 장착한 드론 제작을 할 수 있을까요?? 250급 보다 큰 기체 제작에 사용이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답글삭제
  2. 모터 사양만 조금 크고 쎈 녀석으로 바꿔주시면 문제 없습니다. 그리고 프로펠러도 6인치로 바꾸시면 되요.

    답글삭제
    답글
    1. 공식사이트엔 최대 스로틀시 1.2kg까지 들어올릴수 있다하던데 어느정도 더 쌘 모터를 구매하여야될지 궁금합니다 추천해주시는 제품이 있나요??🙄🙄

      삭제
    2. 만드시려는 기체 총 무게가 얼마나 되나요?

      삭제
    3. 1. 450~550급
      or
      2. 모델링을 통해서 DJI Mavic pro와 비슷한 형태에 짐벌 시스템을 장착하려합니다.

      2.형태를 생각중이라 현재 모델링중인데 3d프린팅으로 외관을 출력하면 넉넉하게 2kg이내로 모든부품과 짐벌시스템을 포함하여 나올것같습니다!

      항공촬영이가능한 드론을 만드려해서요 ㅎㅎ

      1번처럼 450-550급 프레임을 구매해서 제작하거나 2번처럼 2kg이내로 제작할것같습니다!
      올려주신 F40모터로는 역부족일까요?

      삭제
    4. 네 f40은 역부족입니다. 이륙은 하겠지만 힘이 모자라서 조종하기가 어려워요. 만드시려고 하는 기체에는 t-motor mt2216 900kv 모터를 장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https://goo.gl/images/AaZdER 요렇게 생긴 녀석입니다. 4s lipo를 쓰고 2200mah 이상의 용량으로 쓰시고 6인치 2엽 프로펠러가 적당합니다.

      삭제
    5. 아 그렇군요!! 답변 감사드립니다 좋은하루되세요

      삭제
    6. 항공촬영용 450, 550기체는 800kv - 1300kv 규격의 토크가 큰 모터를 씁니다.개당 한 오만원 내외입니다. 항공 촬영용이면 gps 모듈을 달고, 고도계가 내장된 fc를 써서 호버링이 가능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삭제
    7. dji 팬텀 서리즈가 해당 규격의 모터를 쓰고요. 배터리는 4000mah 이상을 써야 20분 이상의 비행시간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삭제
    8. 공부하면 할수록 어려운것같습니다 ㅠ 450 - 550급도 위에 mt-2216모터를 사용하면 되는거겠죠? DJI Mavic pro급은 크기는 작아보이는데 900KV짜리를 사용하는거였군요

      삭제
    9. 네 맞습니다. 제가 해외 커뮤니티를 좀 뒤져봤는데요, 2205 또는 2207 모터를 써도 삼축 짐벌 달고 날 수 있다고 합니다. 대신 KV를 1900KV 또는 2100KV로 써서 회전 수는 낮더라도 토크 그러니까 회전하는 힘이 크면 가능한 거 같습니다. 다만 기동성은 약간 떨어집니다.

      삭제
    10. 저도 첨에 시작할 때 어려워서 한 일년 포기했다가 다시 시작했더랬어요. 한 번만 조립 및 비행 성공 하시면 그 다음부터는 일사천리입니다. 제가 보증합니다. ㅎㅎ

      삭제
    11. 매빅은 1400KV 모터를 쓴다고 하네요, 항공 촬영용 드론은 2000KV 넘지 않는 거 같아요.

      삭제
  3. 안녕하세요! 앞서 질문드렸던것처럼 드론과 짐벌시스템을 함께 운용하려합니다.
    현재 고민인게 배터리 1개로 드론과 짐벌시스템에 함께 전원을 공급하려면, PDB라는 전원분배기를 사용하여야한다고 합니다. 현재 국내외에서 판매하는 제품들은 5V 또는 12V 2개의 전원을 동시에 공급이 가능한 제품들밖에 없는것같습니다.
    저희가 사용중인 FC는 F405 제품으로 6V ~ 30V 사이의 인풋에 작동한다고 공식 사이트에 나와있습니다.
    짐벌에 들어가는 Storm32보드는 7V ~ 18V 사이의 인풋에서 작동한다고 표시되어있습니다.

    PDB를 이용할 경우 5V의 아웃풋으로는 FC나 Storm32보드 둘 중 어떤 것에도 최소 인풋전원을 만족하지 못해 사용하지 못할것같습니다.
    2개의 배터리를 쓰자니 너무 무거워져서 이륙자체가 안될꺼같아 최대한 1개의 배터리로 FC와 짐벌시스템 모두를 운용하려하는데.. 혹시 PDB를 사용하지 않으면 무조건 2개를 써야할까요? ㅠㅠ 고민이 큽니다

    답글삭제
    답글
    1. Storm32가 7V~18V 사이 인풋에서 작동한다면, PDB를 써서 12V 단자에 물려 쓰면 될 것 같은데요? FC와 Storm32 모두 전원 공급 가능합니다. 배터리를 두개쓰면 무거워서 뜨질 못하니 PDB 사용하시면 됩니다.

      삭제
  4. 추가로 질문하나가 더 있습니다.!
    짐벌을 타라니스 조종기에서 조종하려면 FC에 달려있는 리시버를 이용해서 송.수신이 가능하다고합니다. 그러려면 FC에 달려있는 sbus out 단자에 storm32보드를 연결하면 된다고합니다. F405 FC에는 해당 기능이 없는것같은데.. 어떤식으로 Storm32보드를 조종해야할까요? FC를 바꿔야할 방법밖에 없을까요?

    답글삭제
    답글
    1. F405에는 SBUS out이 없고요, SBUS out이 있는 리시버를 구매해서 거기에 연결하면 됩니다. FC를 교체하는 것 보단 리시버를 교체하는게 더 쌉니다.

      삭제
  5. FrSky R-XSR receiver가 SBUS out 포트가 있네요.

    답글삭제
    답글
    1. 지금 사용중인 XM Receiver(Single 안테나버전)를 사용중인데, 회로도를 보니까 SBUS out 포트가 있습니다. 이 포트랑 연결된 선은 현재 F405로 들어가는데 저희가 이 포트에 선을 하나 더 연결해서 Storm32에 연결해도 문제가 없을까요?

      삭제
    2. 그렇게 연결하면 작동하지 않습니다. 하나의 포트에는 하나의 기기만 연결되어야 합니다.

      삭제
    3. 그렇다면 SBUS OUT 포트가 2개있는 리시버가 있을까요.. ㅠㅠ

      삭제
    4. 있죠, 그런데 그 포트 이용해서 gimbal control이 가능한지는 모르겠습니다.

      삭제
  6. 안녕하세요 현재 드론 조립을 완료한 상황인데 비행이 제대로 되지않습니다! 저번에 알려주신 메일로 영상과 사진을 보내 죄송하지만 어떤부분이 문제인지 조언을 얻고싶은데 가능할까요? 감사합니다!

    답글삭제
    답글
    1. 네 보내주세요. 내가 한 번 볼께요

      삭제
  7. 드론 관련하여 궁금한 사항이 있어 메일로 연락을 드렸습니다. 혹시 시간이 되신다면 확인 한번 부탁드려도 될까요? 감사합니다ㅠㅠ...

    답글삭제
  8. 안녕하세요! 저번에 질문 드렸던 학생입니다! 저희가 이번에는 s500급 드론을 양도 받기로 했는데요 저희가 준비할건 xt60단자를 사용하는 6s배터리만 준비하면 된다고 합니다! 혹시 그러한 제품중에서 추천해주실만한게 있을까요??

    답글삭제
    답글
    1. US $91.99 50%OFF | Hot Sale For Infinity 6S 22.2V 5200mAh 70C Graphene LiPo Battery XT60 Support 15C Boosting Charge
      https://s.click.aliexpress.com/e/cccEOGNE

      요거 추천이요

      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