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7월 23일 월요일

완전 초보도 따라하는 하이엔드 레이싱 드론 만들기 #15 - 베타플라이트(Betaflight) 완전정복 / Receiver tab 설정 1/2

Receiver tab에서는 설정할 것들이 꽤 많습니다. 차근차근 하나씩 보시면서 그대로 해주시기 바랍니다.

Receiver tab으로 일단 들어가 보겠습니다.

화면 왼쪽에는 roll, pitch, yaw, throttle, aux1, ... 이렇게 bar 그래프가 있고 오른쪽에는 몇가지 설정값을 넣어줄 수 있는 칸이 있습니다.


이 상태에서 조종기를 켜서 이 드론에 맞는 모델을 선택해 줍니다.

다른 변화는 잘 모르겠고 일단 AUX12의 bar가 길어졌습니다. 그리고 약간씩 오르락 내리락 하는 것이 보일텐데요. 그것은 RSSI 신호가 AUX12 channel을 통해 나오고 있다는 뜻입니다.

그리고 스틱을 한 번 움직여 보세요. 정상적으로 binding이 되었다면 (이 작업은 이전 포스팅에서 설명 드렸습니다) 스틱을 움직임에 따라서 roll, pitch, yaw, throttle이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roll을 맨 왼쪽으로 밀어서 끝까지 가봅니다. Roll의 빨간색 bar는 크기가 줄었고 숫자는 987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roll stick을 맨 오른쪽 끝으로 가봅니다. 이번에는 2011을 가리킵니다.


이 시작과 끝에 해당하는 숫자가 정확히 1000~2000이 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스틱이 가운데 있을 때는 1500이 나와야 합니다. 조종기 설정을 바꿔서 맞춰주는 방법도 있지만 더 쉬운 방법이 있어서 그것을 설명 드리겠습니다.

Roll, pitch, yaw, throttle 모두 마찬가지 방법으로 시작과 끝을 찾아봅니다. 저의 경우엔 모두 987~2011이었습니다.

이제 왼쪽 side tab 중에서 CLI로 들어갑니다.

오른쪽 console 창에 아래 그림과 같이 네 줄을 순서대로 입력합니다. Roll, pitch, yaw, throttle의 시작과 끝이 987과 2011이라는 것을 알려주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것들을 모두 1000~2000으로 조정하라는 뜻입니다.

순서대로 입력한 후 꼭! save를 입력하고 enter를 칩니다.


그리고 다시 receiver tab으로 옵니다. 이제 roll의 시작점을 확인해 볼까요? Roll stick을 왼쪽 끝으로 가져가면 1000


오른쪽 끝으로 가져가면 2000이 됩니다.

물론 가운데 그대로 두면 1500이 됩니다.


나머지 pitch, yaw, throttle을 확인해도 1000~2000이 됨을 알 수 있습니다.

그래도 roll, pitch, yaw stick이 가운데 있을 때 +/- 1 정도의 오차가 생길 수 있고 그로 인해서 오른쪽 아래 드론 모형이 조금씩 움직이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럴때는 RC deadband와 Yaw deadband를 각각 1 정도 넣어줍니다. 이렇게 하면 정 가운데서 스틱 값의 +/- 1 정도의 값은 무시하라는 뜻입니다. 조금 더 심하게 오차가 발생하면 2 정도씩을 넣어 주면 됩니다.


이제 오른쪽에 stick low threshold는 1030으로 stick high threshold는 1970으로 해줍니다. 1000과 2000에서 안쪽으로 30씩 들어온 값인데요. Stick low threshold는 특히 중요한 이유가 throttle stick이 1030 아래로 내려가 있지 않으면 arming이 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RSSI channel은 AUX12로 선택해 주시고 save를 누릅니다.


이번 포스팅이 길어진 것 같아 여기서 끊고 다음 포스팅에서 이어서 aux channel에 switch를 할당하는 작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