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7월 22일 일요일

완전 초보도 따라하는 하이엔드 레이싱 드론 만들기 #11 - 베타플라이트(Betaflight) 완전정복 / Port tab 설정

USB를 FC에 연결하고 port 설정 tab으로 갑니다.


이 tab에서는 FC와 주변기기를 연결해주는 port를 설정해 주는 곳입니다.

USB VCP는 건드리지 않습니다. USB로 FC를 연결할 때 사용하는 port인데 설정을 바꾸게 되면 FC에 연결할 수가 없게 되니 주의합니다.

XM+ receiver가 연결된 UART port 넘버는 2번입니다. UART port의 serial rx를 켜줍니다. 이로써 UART2번에 연결된 XM+의 receiver가 조종기의 신호를 받을 수 있도록 통로를 열어준 것입니다.

UART3의 맨 오른쪽에 Peripherals에서 TBS smartaudio를 선택합니다. 다시 한 번 설명 드리자면 smartaudio란 audio cable을 이용하여 조종기와 OSD로 vtx의 channel이나 power 등을 바꿀 수 있는 기능입니다. 저는 TX3에 smartaudio를 연결했으니 UART3의 peripherals에 smartaudio가 연결되어 있다고 알려준 것입니다.

※ UART란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의 약자로 직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를 말합니다.

Port tab에서 설정할 것은 이것이 전부입니다. 'Save and Reboot' 버튼을 꼭 눌러주어야 앞서 한 설정들이 FC에 저장됩니다.


버튼을 누르면 베타플라이트 컨피규레이터에서 FC의 접속이 끊깁니다. 다시 설정 작업을 하려면 'connect' 버튼을 다시 눌러주어야 합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